반응형
우선 시그모이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
따라서 도함수를 이요한 몫의 미분법을 이용해 아래와 같은 수식이 유도된다는 것을 먼저 인지하자.
그 다음 다시 돌아와서 시그모이드의 미분을 진행하면
즉
1. 몫의 미분법 진행
2. 상수인 1은 사라지고 지수의 미분법은 아래와 같은 수식을 따르므로 위와 같은 수식이 완성된다.
3. 분자의 -1과 앞에 -1은 곱해서 없어지고, 분모는 미리 풀어서 써준다.
4. 분자에 1-1 을 더해준다.
5. 분자와 분모를 적절히 나눠준다.
6. 다음과 같은 수식이 완성된다.
반응형
'Machine Learning > Statis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I 학습데이터가 진짜 고갈될까? [논문리뷰] - Will we run out of data? An analysis of the limits of scaling datasets in Machine Learning. (2) | 2024.04.05 |
---|---|
Self-Attention과 Bilinear function (2) | 2023.10.02 |
Variational Bayes Tutorial (0) | 2023.06.08 |
피어슨 상관계수(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) 알아보기 및 직접 HeatMap과 분포도 시각화해보기. (0) | 2023.05.21 |